지난 2022년, <br /> <br />강원도 속초로 현장 체험 학습을 간 초등학생이 타고 온 버스에 치여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인솔 책임자인 담임교사는 학생들 앞에 있었고, 사고를 당한 학생은 맨 뒤에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2년 3개월 만에 1심 재판부는 교사 A 씨에게 안전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며 금고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항소심이 예정된 가운데, 교육계 반발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"(교사)선처를 호소한다! 호소한다! 호소한다!" <br /> <br />예측 불가능한 사고 책임을 인솔교사에게 지게 한다면, 현장 체험 학습은 더는 할 수 없다고 교사들은 입을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학기가 시작됐지만 강원지역 전체 초등학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학교가 현장체험학습 진행 여부를 여전히 논의 중이거나 축소 또는 취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[강원지역 일선 초등학교 교사 : (현장 체험학습을) 더 가는 거에 대해서 부담스러워하고, 이거 가야 하느냐? 이러면서 이제 안 가는 추세로 이(교사 처벌) 이유를 근거로 아예 우리는 현장 체험 안 간다, 이렇게 얘기한 학교도 있고요.] <br /> <br />현장 체험 학습을 준비하는 교사들의 부담은 실제로 컸습니다. <br /> <br />강원지역 교사 1,352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 조사. <br /> <br />절반이 넘는 교사가 현장 체험 학습을 축소 또는 연기, 취소했다고 답했고, <br /> <br />82.4%가 법적 보호장치가 마련될 때까지 현장 체험학습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학교 안전사고에 관한 민형사상 책임이 면제되는 학교안전법이 오는 6월 시행되지만, 교사 10명 중 9명은 효과가 없거나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을 것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[최고봉 / 전교조 강원지부장 : 구체적인 대책과 현실적인 법과 제도 개선이 없다면 현장 체험학습은 교사들에게 두려움과 회피의 대상이 될 뿐입니다.] <br /> <br />교사들은 멀리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찾아가는 체험학습 대신, 전문 강사나 공연팀을 학교로 초청하는 찾아오는 체험학습이 확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현장 체험학습 시행 여부를 결정할 때 교장, 교감 등 관리자가 아닌 일선 교사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성욱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성도현 <br />디자인ㅣ임샛별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42109555247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